타입스크립트 코드가 컴파일 되는 방식을 가리킴
어떤파일? 컴파일되는 파일이 어떻게 처리 되어야 하는지 설정
★ target 옵션 : 어떤 자바스크립트 버전을 대상으로 코드를 컴파일 할 것인지(기본옵션)
★ lib 옵션 : dom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항목들(기본 객체, 기능, 타입스크립트 노드를 지정) (ex: document.querySelector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 lib 설정이 되어있지 않지만 기본값이 동작함
lib를 주석해제하면 console.log 나 document를 인식하지 못함
ctrl+space로 자동완성을 확인
dom을 추가
"lib": [ "DOM", "ES6", "DOM.Iterable", "ScriptHost" ]
자바스크립트 핵심기능 사용 가능한 lib설정
(“target“: “es6”와 같은 설정임)
★ allowJs 옵션 : 타입스크립트가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컴파일 할 수 있도록 해줌
(파일이 .ts로 끝나지 않더라도)
★ checkJs 옵션 : 컴파일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구문검사, 잠재적 에러 보고
타입스크립트없는 프로젝트나 타입스크립트+바닐라스크립트 사용할때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도 함께 검사하고 싶은경우에 allowJs checkJs옵션을 사용
★ declarationMap옵션 설명 중 ‘.d.ts’file은 프로젝트 라이브러리 배포중 고급개념
★ sourceMap옵션 : 디버깅과 개발에 유용하다 값을 참으로 하고 커멘드를 실행하면 .js.map파일이 생성됨. 해당 파일은 최신브라우저와 개발자 도구간 다리다 ts 파일도 디버깅을 위해 sources 탭에 나타나게 된다.
★ outDir : 설정하면 컴파일 후 생성된 JS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파일을 정렬할 때 유용한 기능) ts파일 저장된 폴더의 구조를 그대로 가져오는 역할도 하여준다. (하위 폴더 구조도 가져옴)
★ rootDir : 설정하고 파일이 저장되는 폴더에서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가 폴더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clude옵션과 다른점 : src폴더 확인 + 설정한 프로젝트 구조가 dist 폴더에서 유지되는지 확인)
appleromoveComments : .ts파일의 모든 주석이 컴파일된 자바스크립트 파일에서 제거됨
★ noEmit : JS파일을 생성하고 싶지 않을 때 true (그리고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가 파일을 검사하여 잠재적 에러를 보고하도록 할때 유용)
★ downlevelIteration: 코드를 이전 버전의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하고 for 루프로 작업하면 컴파일이 작동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럴 때 이 옵션을 설정하면 정확하게 컴파일할 수 있게 된다. (루프가 있고 생성된 코드가 해당 루프와 다르게 작동하는 경우에만 이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 noEmitOnError : default 값은 false. 자바스크립트 파일 생성에 문제가 없고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이 값을 true로 설정하면 문제가 되는 파일이 다시 생성되지 않는다. 한 개에 문제가 있으면 모든 파일이 생성되지 않음
'공부기록 >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config.json파일 additionalOptions (0) | 2023.04.07 |
---|---|
tsconfig.json파일 strictOptions (0) | 2023.04.07 |
watch mode (0) | 2023.04.07 |
tsconfig.json 파일 옵션 : 특정 파일 컴파일링 제외 / 포함 (0) | 2023.04.07 |
[타입스크립트] enum 타입이란? (0) | 202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