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기록/[강의노트] 테스트 (2) 썸네일형 리스트형 [udemy] 5~10강 TDD, BDD, RTL(unit, integration, functional, e2e) 5. TDD: 테스트 주도 개발 Red-green testing : 코드 작성 전 테스트 코드를 작성 하고 테스트에 통과하도록 코드를 작성하는 것 why? 1.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프로세스의 한 부분으로 느끼게 됨2. 효율적임 (먼저 테스트를 작성하면 변경 후에 자동으로 다시 실행 가능 변경사항마다 자동으로 다시실행 가능 Free recursion test) 6. React testing Library의 철학 RTL의 역할 가상 DOM생성 DOM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유틸리티 제공 브라우저 없이 테스트 가능 하게 Types of Tests 1) Unit test 함수, React Component, Unit 다른 유닛과 상호작용 하는것을 테스트하지 않음 2) Integration test 여러 유닛 상.. [udemy] 1~4강 테스팅라이브러리 와 테스트러너, 단언 1강. - React 테스팅 라이브러리는 철학에 기반한다 1.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내부구현을 테스트 X) 2. 요소를 접근성 표시로 찾는 것 (스크린 리더 및 기타 보조 기술은 테스트 ID를사용하지 않고 요소를 찾음) - React 테스팅 라이브러리와 Jest, Vitest의 역할 구분 시뮬레이션 된 DOM제공 필요 (브라우저 없이 테스트 하므로) (클릭후 DOM의 생김새 파악) - Jest, Vitest는 테스트 러너 테스트를 찾고 실행하고, 통과 실패여부 결정하는 것 본 강의는 Vitest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Jest와 Vitest는 차이가 없다. 2강. Vite란? Javascript 기반의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 Babel, webpack포함. Jsx구문 가능 impor..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