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기록/[강의노트]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2.0~#2.4

#2.0 your First JS Project

 

자바스크립트 콘솔로 사용하기  

ispect (마우스 우클릭- 검사) - console 

alert("hi"); 입력 

 

콘솔은 1줄 코드만 입력할 수 있다. 

여러줄을 만드려면 Vue.js를 사용한다.

(Vue.js는 미리 다운로드한다

node.js를 먼저 다운로드 https://nodejs.org 설치완료후 설치확인
터미널창 실행 윈도우 + R  누른뒤 cmd 입력 
node -v 입력

확인완료

 

바탕화면에서 설치할 폴더 만들기

  - C:\Users\사용자

에서 vue폴더 생성


터미널창에서 설치할 폴더로 이동

cd c:\Users\사용자\vue 입력

 

npm install vue입력

설치화면 뜨면 성공

 

npm install -g @vue/cli입력

설치화면 뜨면 성공

 

vue -V 또는 vue --version 설치 확인)

 

document에 momentum 폴더 만들기

터미널창 실행 

code 입력 (vue.js 실행됨)

 

폴더 추가 

파일 추가 

   add.js파일

 

      alert("hi");

입력 

      브라우저 실행 (실행안됨 코드로만 뜬다)

 

   style.css파일

 

body{   
         background-color: beige;
}

    브라우저 실행 (실행안됨 코드로만 뜬다)     

 

    index.html파일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title>Momentum</title>
</head>
<body>
    <script src="app.js"></script>
</body>
</html>

    을 입력

    html파일의 역할 css와 javascript의 실행을 하게 해줌 

 

 

#2.1 Basic Data Types 

 

콘솔에

숫자 정수 소수 입력가능 

단순한 계산식 가능

 

문자열 입력할 때는 '' 또는 "" 안에 입력 

문자열 합칠 때는 '' + '' 또는 "" + "" 입력

 

#2.2 Variables

 

console.log( );

괄호 안에 숫자 입력 또는 ""안에 문자열 입력 

 

console.log(5 + 2);
console.log(5 * 2);
console.log(5 / 2);



쉽게 수정하기 위해 variable을 사용 

 

1) const(constant)를 사용한 방법

const는 변수를 변경하지 않을 때 값을 입력하는 방법이다.

 

 

const a = 5;
const b = 2;

const myName = "raley" //긴 이름의 변수를 구분할 때는 스페이스바가 아닌 대문자로 구분

console.log (a + b);
console.log (a * b);
console.log (a / b);
console.log ("hello " + "myName");

2) let을 사용한 방법 

 

let은 변수를 변경할 가능성이 있을 때 값을 입력하는 방법이다.

 

const a = 5;
const b = 2;


let myName = "raley" //긴 이름의 변수를 구분할 때는 스페이스바가 아닌 대문자로 구분


console.log (a + b);
console.log (a * b);
console.log (a / b);
console.log ("hello " + "myName");

myName = "Zana";

console.log ("your new name is " + "myName");

const를 주로 쓰고

변수를 업데이트 해야하는 경우에만 let을 쓰도록 한다. 

 

3) var를 사용한 방법 

 

 

var a = 5;
var a = 2;

 myName = "raley" ; //긴 이름의 변수를 구분할 때는 스페이스바가 아닌 대문자로 구분

console.log (a + b);
console.log (a * b);
console.log (a / b);
console.log ("hello " + "myName");

var을 사용한 방법은 이제 잘 쓰이지 않는다. 

실수로 a의 값을 업데이트 해도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

 

 

"always const  sometimes let  never var"

 

#2.3 Booleans

1) true

 켜져있음을 의미

const amIFat = true;
console.log(amIFat);

2) False

꺼져있음을 의미

const amIFat = false;
console.log(amIFat);

3) null 과 undefined 

null 은 변수에 아무것도 없음을 의미

undefined는 변수를 만들고 있지만 아무것도 정의되지 않은 것 (값이 들어가지 않음)

 

const amIFat = null;
let something;
console.log(something, amIFat);

결과는 undefined null